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
같을까, 다를까?
원천세 신고는 무엇이고 인건비 신고는 또 무엇인지, 이 둘이 같은 건지 다른 건지 알쏭달쏭 헷갈리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택슬리 질문 답변 서비스에 올라온 질문을 바탕으로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에 대해 알아보고, 세무사가 직접 알려주는 기장 업무 대행 주의사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
Taxly's Tip.1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는 다른 건가요?
나만 모르는 건 아닌지, 남에게 선뜻 물어보기 어려운 세무 관련 질문들!
택슬리 질문 답변 서비스가 해결해 드립니다. 오늘의 질문을 함께 살펴볼까요?
▶ 사례 자세히 보기
-
질문 내용
①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는 다른 세금 신고 항목인가요?
② 세금을 잘 몰라서 기장도 별도로 문의하려고 합니다.
Taxly's Tip.2
김현우세무회계 '김현우 세무사'의 답변
그럼 질문자가 채택한 소통을 중시하는 세무사 - 김현우세무회계 '김현우 세무사'의 답변을 함께 살펴볼게요.
▶ 김현우 세무사 답변 보기
▶ [질문 ①]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는 다른 세금 신고 항목인가요?
[답변 ①] 원천세 신고는 소득을 지급한 부분에 대하여 매달 일정 부분을 공제한 뒤 공제한 금액을 납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건비 신고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인건비 신고에 원천세 + 개인소득세의 개념이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원천세 신고를 하면서 인건비가 신고되는 것이나 인건비 신고는 개인소득세를 계산할 때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질문 ②] 세금을잘 몰라서 기장도 별도로 문의하려고 합니다.
[답변 ②] 기장업체를 선정하실 때는 세무사 사무실의 실력이나 노하우, 가격도 중요하지만 담당 직원이 있더라도 세무사와 소통이 가능한지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Taxly's Tip.3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이번 질문에는 총 7분의 세무사가 답변을 남겨주셨어요.
다른 세무사의 답변도 함께 보면서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 기장 업무 대행 의뢰 시 주의사항까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 더 알아보기
[달란트 세무회계 '한성민 세무사']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는 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같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원천세 신고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을 지급받는 자의 소득에서 미리 세금을 떼서 신고하는 것을 원천징수소득세라고 하며, 그를 원천세 신고라고 합니다.
반면, 인건비 신고는 인건비가 들어간 것을 세무서에 신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인건비 신고를 할 때에 원천세 신고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원천세 신고와 인건비 신고를 혼용해서 쓰기도 합니다.
[SM세무회계 '엄성민 세무사']
원천세 신고·납부는 단순히 원천징수 세액을 신고 납부하는 것입니다. 이때 소득자의 인적 사항은 표기되지 않고 총 지급 소득 합계와 원천징수 세액의 합계만 표시됩니다.
이후에는 이와 별도로 소득 구분에 따라 매월, 반기별 또는 연 1회 '지급명세서'를 국세청에 제출해야 하는데 통상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을 인건비 신고라고 부릅니다.
[세무회계 문 '문용현 세무사']
원천세 신고가 곧 인건비 신고입니다.
직원들이나 아르바이트생에게 급여를 줄 때 급여에서 일정 금액의 세금을 떼고 지급하고, 뗀 세금은 다음 달 10일까지 원천징수 신고를 합니다.
원천징수 신고를 정상적으로 하셔야 인건비로 비용 처리가 가능한 것입니다.
▶ 기장 업무 대행 의뢰 시 주의사항
[달란트 세무회계 '한성민 세무사']
기장을 맡기신다고 하면, ① 세무사가 직접 해당 거래처를 체크해 주는지, ② 꼼꼼히 지급명세서 또는 부가세와 함께 전체적인 종합소득세 부분도 체크해 주는지 체크하셔서 맡겨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