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자산을 증여받을 때
한 번에 여러 유형의 자산을 증여받는 경우 증여세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증여세 계산의 기본 개념을 정리해 드릴게요!
택슬리 질문 답변 서비스에 올라온 생생 질문 사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Taxly's Tip.1
현금과 아파트를 동시에 증여받았어요.
요즘 다양한 유형의 자산을 증여하고 받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더불어 증여세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요.
그럼, 오늘의 사례를 만나볼까요?
▶ 사례 자세히 보기
-
질문자의 상황
- 부모님으로부터 현금 약 5억 원과 시가 6억 원의 아파트를 동시에 증여받을 예정입니다.
-
함께 알아볼까요?
- 증여세를 계산할 때 각 자산 유형별로 따로 계산하나요, 합쳐서 계산하나요?
Taxly's Tip.2
증여 재산을 모두 합쳐서 증여세를 계산해요.
이번 질문에는 무려 9분의 세무 전문가들이 답변을 남겨주셨는데요. 택슬리가 중요한 포인트만 딱딱 집어서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증여재산을 합친 11억이 과세 대상이에요.
▶ 배수세무회계 '배수 세무사'의 답변
-
증여세는 증여일 이전 10년 이내에 같은 사람으로부터 받은 증여재산 금액의 합계액이 1천만 원 이상인 경우에 증여세 과세가액을 합산해 계산합니다.
-
만약 증여자가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일 경우에는 그 직계존속의 배우자를 포함해 동일인으로 간주합니다.
★ 증여세 계산 예시
Q. 2022년 11월 현금 5억 원을 증여받고, 2023년 12월에 시가 6억 원 아파트를 증여받았을 때 증여세 계산은?
A. 먼저 ① 2022년 11월 현금 5억 원을 증여재산가액으로 증여세 신고를 합니다.
② 2023년 12월 <현금 5억 원 + 아파트 6억 원 = 총 11억 원을 증여재산가액으로 계산한 증여세>에서 <현금 5억 원을 증여재산가액으로 계산한 증여세>를 뺀 금액이 증여세 납부세액이 됩니다.
아파트는 매매사례가액, 감정가액으로 평가해요.
▶ 노우만세무회계 '안성인 세무사'의 답변
-
증여재산가액을 계산할 때, 현금은 5억 원을 그대로 계산하고, 아파트는 증여일 전 6개월 ~ 증여일 이후 3개월 이내의 매매사례가액이나 감정가액 등으로 평가합니다.
-
현금 증여세 기준, 아파트 증여세 기준이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Taxly's Tip.3
10년 이내 추가 증여 재산을 체크해요.
증여세를 계산할 때는 최근의 증여재산 외에 10년 이내 증여받은 뒤 잊고 있었던 재산은 없는지 꼭 체크해야 합니다.
10년 이내 증여재산을 함께 신고해야 해요.
▶ 김현우세무회계 '김현우 세무사'의 답변
-
증여일로부터 소급하여10년 이내에 동일 인물로부터 받은 다른 현금이나 자산이 있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
만약 다른 증여재산이 있다면 합쳐서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해요.
직계존속은 5천만 원까지 증여재산 공제됩니다.
▶ 세무회계 문 '문용현 세무사'의 답변
-
성년이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으로부터 증여를 받는 경우, 10년 이내 5천만 원까지 증여재산 공제가 적용됩니다.
-
증여재산 11억 원, 증여재산 공제 5천만 원을 가정하면 예상 증여세는 252,200,000원입니다.

